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한국여성대회

3.8 세계여성의 날 소개 본문

3.8 세계여성의 날 소개

3.8 세계여성의 날 소개

kwau_38 2023. 3. 22. 16:01

3.8세계여성의 날 기원

 

‘3.8 세계여성의날유래는 세계 각국 여성노동자들의 생존권, 노동권 투쟁 및 여성의 참정권 획득을 위한 다양한 운동과 역사적 맥락을 함께 합니다.

 

20세기 초반 미국 의류산업 등에서 일하는 여성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은 매우 열악했습니다. 1909년부터 미국 사회당 여성들은 2월의 마지막 일요일에 여성 참정권을 위한 집회를 개최하고 이 날을 여성의 날로 기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0911월에 뉴욕시에서 시작되었던 여성노동자들의 대규모 파업과 투쟁은 여성의날의 의미를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1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사회주의여성회의에서는 국제여성의날에 관한 결의가 채택되었습니다. 이후 많은 유럽 국가에서 여성의날을 기념하기 시작하였고, 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보다 많은 국가들로 퍼져나갔습니다.

 

191738일 러시아 페트로그라드에서는 여성 노동자들이 파업과 시위를 벌였고, 1921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회 코민테른 여성회의에서는 각국에서 여성의날을 38일로 통일하여 함께 기념할 것을 결의하였습니다. 1922년 이후부터는 38일에 맞추어 여성의날을 기념하는 관행이 각국에서 정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유엔은 1975년을 세계 여성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197712월에는 유엔총회에서 모든 국가가 여성의 권리와 국제적 평화를 위한 UN의 날을 정해 공포할 것을 권고하는 결의를 채택했습니다.

 

UN을 비롯한 국제기구들도 1975년 이후 세계여성의 날을 공식적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계여성의 날은 전 세계 여성들의 연대를 공고히 하는 행동과 축제의 날로 자리잡아갔습니다.

 

한국여성대회 시작

한국에서 3.8 세계여성의 날 행사가 시작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였습니다. 
당시 3.8 행사는 강연회나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대부분의 행사는 열리기도 전에 

일본 경찰에 의해서 저지되어 무산되었다고 합니다. 

광복 후 미군정기 하에서는 극심한 이데올로기의 대립 속에서도 공.사창제의 폐지를 요구하는 여성들이 

부인 위안의 날 행사를 치렀습니다. 여성들의 이러한 의지는 1948년 공.사창제의 폐지 법령이 공고되는데 기여했습니다.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여성의 날은 단절의 아픔을 겪습니다. 

3.8 세계여성의 날이 한국에서 부활한 것은 1985년입니다. 1985년 3월 8일 서울 명동 YWCA 강당에서 

300여명의 여성들이 모여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1회 한국여성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한국여성대회는 여성들이 당면한 문제들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성평등 사회를 향한 여성들의 힘과 연대를 확인하는 축제의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역대 여성대회 돌아보기 

한국여성대회는 지난 37여년 간 여성에 대한 차별 근절과 여성인권 증진을 위한 장이면서도 

각 시대적 요구를 담아내는 공간이었습니다.
1985년 제1회 여성대회는 대중집회가 쉽지 않았던 군사 독재 시절임에도 

전국의 여성들이 모여 민주화와 통일 여성해방을 외쳤습니다.
IMF 한파로 여성에 대한 불평등이 심화되었던 1990년 후반에는 '여성 우선 해고 반대'와 고용안정을 슬로건으로 

빈곤으로 내몰리고 있던 여성들을 목소리를 모아냈습니다

2000년에 들어서서는 성매매방지법 제정과 호주제 폐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시민들의 여론을 모아 법제도를 바꿔냈습니다.
2018~2019년 한국사회 모든 영역에서 일어났던 미투운동의 목소리는 여성대회에서

우리 사회 전반을 바꿔내는 에너지로 탈바꿈했습니다.

 

<참고문헌>

신상숙(2008), ‘3·8 세계여성의날의 유래 : 한국여성운동과 만나기까지‘, 3·8세계여성의 날 100년 기념 한국여성대회 역사자료집: 연대·선언·축제, 317-320, 한국여성단체연합(2008) 발간

Comments